Latest Posts
-
스포츠 저널리즘의 시작, 일간스포츠 창간
스포츠 저널리즘의 시작, 일간스포츠 창간 2010년 초반 스포츠신문 시장은 일간스포츠(한국일보 자매지, 요즘은 중앙일보 계열), 스포츠서울, 스포츠조선 조선일보 자매지이 삼분하고 있었다. 스포츠 신문은 가정 구독분보다는 가판대에서 팔리는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아서 지하철에서 스포츠 신문을 펼쳐 읽는 사람들이 참…
-
대통령의 이름을 따서 축구 대회를 만들다-박스컵
대통령의 이름을 따서 축구 대회를 만들다-박스컵 한국 축구는 오랫동안 아시아의 맹주로 불려왔다. 요즘은 특히 아시아의 맹주로 불릴 자격이 있다고 본다. 1986년 멕시코 대회 이후 10회 연속 월드컵에 진출한 아시아 유일의 국가이고, 2002년 한일월드컵 때는 기적의 4강…
-
실미도 축구팀 양지를 아십니까?
실미도 축구팀 양지를 아십니까? 1966년과 2002년, 36년의 간격을 두고 있어 별 관계도 없을 것 같은 이 두 해는 사실상 한 나라인 아시아의 두 국가에게는 환희의 해요, 유럽의 한 국가에게는 뼈아픈 해다. 아시아의 두 국가는 대한민국과 북한…
-
선진국 필리핀, 가난한 한국에 장충체육관을 선물하다
선진국 필리핀, 가난한 한국에 체육관을 선물하다 1963년 2월 1일,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장소가 문을 열었다. 우리나라 최초의 실내체육관인 장충체육관이 그곳이다. 최고 실세였던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이 참석해 테이프를 끊을 정도로 관심이 컸다. ‘운동경기는 눈, 비가 내리지 않을 때만…
-
마라톤의 승자 마라토너 이창훈
1940~1960년대 인생과 역사, 마라톤의 승자 마라토너 이창훈 사람들은 곧잘 인생은 마라톤 같다고 한다. 출발선에 섰을 때는 조바심이 나지만 출발 신호가 울리면 반사적으로 경쟁자들과 함께 뛰어나간다. 경기 초반에 때론 오버 페이스로 앞서나가기도 하지만 이내 뒤쳐져 걷고 만다. 때로는…
-
통증과 함성 속에 고유명사가 된 김일
1940~1960년대 통증과 함성 속에 고유명사가 된 김일 프로레슬링 선수 김일은 고유명사다. 그를 떠올리면 변변찮은 스포츠 중계가 없던 60~70년대 서민들의 체육관 안, TV속 함성이 연결된다. ‘땡땡땡’으로 경기 종료를 알리는 종소리와 ‘원, 투, 쓰리’로 이어지는 경기 캐스터의 숨…
-
대한민국 스포츠의 시작
대한민국 스포츠의 시작, 해방 후부터 60년대까지 나라를 되찾으면, 간절한 소원을 이루면 신천지가 열릴 것 같았다. 식민지 국민의 설움으로 원치 않게 일장기를 달 수밖에 없었던 스포츠 선수들은 1945년 해방 뒤 그토록 원하던 태극기를 달 수 있었다. 하지만…